평화학연구         투고규정

투고규정

2021년 1월 2일 개정

1. 투고 자격은 미납없이 연회비를 납부한 정회원이어야 한다. 준회원의 경우 정회원과 공동저자로 투고 가능하다.

2. 정회원은 본 학술지에 연 1회 논문을 게재할 수 있다. 정회원은 박사과정 이상이다.

3. 투고 논문은 본 학회의 정체성에 부합하는 ‘평화’와 평화와 관련된 학술적 성격을 가진 논문을 원칙으로 하되 다른 학술지 등에 발표한 사실이 없는 독창성을 가진 것이어야 한다.

4. 국문 논문은 한글프로그램(한글 2007이상 파일)을 사용하여 A4용지에 단면으로 작성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전체 분량은 A4용지 20매 또는 200자 원고지 150매 이내(서평의 경우 200자 원고지 20매 이내)를 원칙으로 한다. 이를 초과할 경우에는 초과 200자 원고지 5매(1,000자)당 2만원의 인쇄비를 징수한다(한글프로그램에서: 파일-문서정보-문서통계-원고지로 체크). 국문 논문의 전체 분량은 어떠한 경우에도 A4용지 25매 또는 200자 원고지 180매(서평의 경우 200자 원고지 40매)를 초과할 수 없다. 영문 및 기타 외국어 논문은 Microsoft Word를 사용하여 A4용지 20매(8,000 단어) 이내를 원칙으로 하되, 10,000 단어를 넘지 않도록 한다. 분량 초과 원고는 심사에서 제외한다.

5. 심사의 판정에서 ‘게재 가’로 통과된 논문이라 하더라도 본 학회의 편집규정 및 윤리규정을 충실히 따르지 않은 논문은 편집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게재되지 않을 수도 있다.

6. 『평화학연구』에는 제1저자를 기준으로 동일기관 소속의 논문이 해당 호에 2편을 초과하여 게재될 수 없다. 이에 심사의 판정에서 ‘게재 가’로 통과된 논문이라 하더라도 동일기관 소속이 2편을 초과할 경우 전체 평점이 높은 순위로 해당 호에 우선 게재여부를 확정하며 나머지 논문의 경우는 차기 호에 게재하도록 한다.

7. 투고 논문의 제출은 본 학회의 온라인 시스템을 통해 한다. 투고 논문의 구성은 제목, 저자(소속, 직위), 목차, 국문초록, 주제어, Abstract, 본문, 참고문헌의 순으로 배열한다. 제출 논문의 표지에는 논문제목(국・영문), 필자이름(국・영문), 필자의 소속기관 및 직위(국・영문), 전화번호, 주소, Fax번호, 이메일 주소 그리고 필요한 경우 감사의 말과 논문투고 설명 등을 작성하여 제출한다. 국문초록의 경우에는 200자 원고지 3매 이내, Abstract의 경우에는 영문제목과 영문저자명(소속)을 포함하여 200단어를 넘지 못한다. 주제어는 국・영문을 망라하여 5개 내외로 한다.

8. 논문작성은 아래의 형식을 따른다.
편집용지(188mmx257mm) 문단모양 글자모양
용지여백 위쪽 20 여백 왼쪽 10 한글 글자 윤명조 320
아래쪽 20 오른쪽 10 장평 94%
왼쪽 29 줄간격 170 자간 -5
오른쪽 29 문단위 0 영문 글자 Garamond
머리말 13 문단아래 0 장평 100%
꼬리말 0 들여쓰기 10 자간 0
제본 0 정렬방식 양쪽 크기 본문 10.5pt
- 낱말방식 0 인용문 9.5pt
9. 논문의 본문은 새로운 면에서 제목을 쓴 후 시작한다. 다만 본문의 장, 절, 항의 번호는 “Ⅰ.…, 1.…, 1)…, (1)…, ①…”의 예에 따라 순차적으로 매긴다.
1) 인용문은 “ ”로 하고 강조할 사항이나 특수한 용어는 < >로 표시할 수 있다. 2) 투고논문은 한글 사용을 원칙으로 하되 뜻을 명확히 하기 위해 불가피한 경우에만 한자를 쓰고, 외국 인명 및 지명은 한글(원어 표기)로 쓴다. 통일된 역어가 존재하지 않는 외래어의 경우에는 첫 번에 한하여 한글 역어를 적고 ( )안에 외래어를 부기한다<예시: 세계화(globalization)>. 인명의 경우에는 첫 번에 한하여 한글명(한자명), 교육부의 외래어 표기법 기준에 따라 현지의 발음대로 한글 표기의 외국인명(원어명) 또는 외국지명(원어명)을 부기한다<예시: 김구(金九), 후진타오(胡錦濤),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 조지 부시(George Walker Bush), 블라디미르 푸틴(Vladimir Putin), 뉴욕(New York), 베이징(北京), 도쿄(東京)>.
10. 저자는 제1저자를 제일 처음 명기하며 공동저자는 논문 기여도를 고려하여 가나다 순서로 명기한다. 단 저자는 저자의 소속과 직위 등 저자정보를 논문에 정확하게 명기해야 한다.

11. 심사시 투고자의 익명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투고자의 논문이나 저술을 지칭할 때에는 ‘졸고’ 혹은 ‘졸저’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못하며 그 대신 반드시 투고자의 지칭이름을 밝혀 적는다. 또한 본문과 각주 및 참고문헌 등에서도 투고자의 신원을 짐작할 수 있는 어떤 언급도 사용해서는 안 된다.

12. 논문 투고자는 원고접수와 함께 학회은행계좌(하나은행, 216-910002-90404,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로 소정의 연회비(50,000원)를 납부해야 한다.

13. 논문 투고시 소정의 심사료(60,000원-국문, 90,000-영문)를 납부해야 한다. 또한 게재가 확정될 경우 일반논문의 경우에는 100,000원, 한국연구재단 및 기타 기관에서 연구비를 지원받은 논문의 경우에는 300,000원의 게재료를 납부해야 한다.

14. 게재확정의 통보를 받은 투고자는 최종원고를 소정의 기일 내에 이메일로 제출해야 한다. 최종원고 제출시 수정 지시사항의 이행 및 해명을 간단히 요약한 ‘수정 정오표’도 함께 제출해야 한다.

15. 제출된 논문이 최종심사에 통과되어 본 학회지에 게재되면 학회가 그 논문에 대한 저작권을 갖는다.

16. 논문의 각주 및 참고문헌 등은 Chicago Manual of Style에 준거하며, 다음의 작성 기준에 의거하여 작성하고 이를 지키지 않을 경우 심사에서 제외할 수 있다.

본문의 각주 작성

1. 인용 및 참고한 자료의 출처를 밝히는 각주는 본문의 하단에 처리한다.
* 단행본
1) 박성조, 『한반도붕괴』(서울: 랜덤하우스, 2006), 91.
2) 김철경 외, 『남북정상회담』 (서울: 매봉, 2001), 10-13.
3) Samuel P. Huntington, Political Order in Changing Societies (New Haven, Connecticut: Yale University Press, 1968), 20.
4) Martin Creveld, Van Crevald and Martin Kim, The Transformation of War (New York: Free Press, 1990), 11-12.
5) James Lee, et al., World Order (New Haven, CT: Yale University Press, 2007), 89.(3인 저자까지는 저자 전부 표기, 그 이상은 ‘외’, ‘et al’로 표기)

* 논문 및 책의 일부분(소논문, 장 또는 절)
1) 김수민, “북한 급변사태 개연성: 내부요인을 중심으로,” 『평화학연구』 제9권 3호 (2008), 19-21.
2) 김태운・노찬백, “김정일시대 주요 통치담론의 실천상 특징에 관한 고찰,” 『통일정책연구』제15권 1호 (2006), 25-26.
3) 김성민, “미국의 동북아안보정책과 군사혁신,” 『동북아의 평화론과 평화구상』, 김이성(편) (서울: 동북, 2004), 122-123.
4) Hun Kyung Lee, “Corresponding Steps and Further Approaches for North Korean Nuclear Solution through Application of Game Theory, Bargaining Theory, and Prospect Theory,” The Journal of Peace Studies l9(4) (2008), 69.
5) Carlos Marighella, “From the Mini-Manual,” in Terrorism Reader: A Historical Anthology, ed. Walter Laqueur (New York: New American Library, 1978), 34.
6) Michael L. Moodie, “The Chemical Weapons Threat,” in The New Terror: Facing the Threat of Biological and Chemical Weapons, eds. Sidney D. Drell, Abraham D. Sofaer and George D. Wilson (California: Hoover Institution Press, 1999), 11-12.

* 학위논문
1) 배진석, “양분화이론으로 본 동아시아의 해양안보질서와 해군력의 역할,” (동아대학교 박사 학위 논문, 2011).
2) Mihwa Choi, “Contesting Imaginaires,” (PhD diss., University of Chicago, 2008).

* 학회발표논문
1) 조철호, “남북한의 분단외교와 통일외교,” 『한반도의 외교・안보・통일환경 변화와 우리정부의 대응책: 외교・안보・통일정책을 중심으로』 (한국평화연구학회 2012 동계학술회의, 서울, 2012년 11월 23일), 12.
2) Sung Jo Park, “Theoretical and Practical Approaches toward Unification Policy: Reflections and Perspectives,” (paper presented at the conference organized by the Knowledge Center, Public Administration and Policy and Korea Institution of Public Affairs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December 5, 2005), 55.

* 연구총서 또는 연구보고서
1) 허문영・오일환・정지웅, 『평화번영정책 추진성과와 향후과제』, KINU 연구총서 07-10 (서울: 통일연구원, 2007), 125.
2) Marcus Noland, Famine and Reform in North Korea, Working Paper 03-5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s, Washington D. C., 2003), 33.

* 신문기사 또는 잡지의 기사
1) 이수민, “동북아 협력안보레짐,” 『중앙일보』, 2007. 4. 12.
2) 반이정, “사전과 경전의 기묘한 권위,” 『한겨레 21』 제645호 (2007).
3) Axel Berkofsky, “EU’s North Korea Policy a Non-starter,” Los Angeles Times, July 14, 2003.

* 웹사이트
1) 김일태, “북핵문제의 해법을 찾아서,” 검색일 2007년 4월 5일, http://www.ilminkor.org.
2) Sheryl Gay Stolberg and Robert Pear, “Wary Centrists Posing Challenge in Health Care Vote,” New York Times, February 27, 2010, accessed February 28, 2010, http://www.nytimes.com/2010/02/28/us/politics/28health.html.

* 재인용
1) 김수민, “북한 급변사태 개연성,” 66.
2) 박성조, 『한반도붕괴』, 91.
2) Moodie, “The Chemical Weapons Threat,” 22.
4) Samuel P. Huntington, Political Order in Changing Societies. 20.
(‘위의 글’, ‘앞의 책’, ‘전게서’, ‘상게서’ 등의 표기 금지)


2. 표와 그림(또는 사진)의 제목은 각각 논문의 전편을 통해서 일련번호를 매겨(예: <표 1>, <그림 1> 또는 <사진1>) 표나 그림(또는 사진)의 윗부분에 쓰고 자료의 출처는 표와 그림(또는 사진)의 하단 부분에 ‘출처:’ 라고 표시하고 그 자료를 밝힌다.
<예시= 출처: 통계청, 『남북한 경제사회상 비교』 (1995. 11), 172>.
단, 표와 그림의 주가 있을 경우에는 하단에 개별 주, 일반 주, 출처의 순서가 되도록 배열한다.

참고문헌의 작성

1. 본문에 인용 또는 언급된 참고문헌은 국내문헌, 북한문헌, 외국문헌(동, 서양의 순) 등으로 구분하되 저자의 성(姓)을 기준으로 한글과 한자의 경우에는 가나다순, 그리고 외국어의 경우에는 알파벳순으로 배열한다.

2. 참고문헌은 단행본의 경우에는 저자, 저서명, 출판사 지역명, 출판사 명, 출판 연도의 순서로, 논문의 경우에는 필자, 논문제목, 편・저자, 저서명, 출판사 지역명, 출판사 명, 출판 연도의 순서로 다음의 <예시>와 같이 기재한다.
* 단행본
1) 박성조. 『한반도붕괴』. 서울: 랜덤하우스, 2006.
2) 김철경 외. 『남북정상회담』. 서울: 매봉, 2001.
3) Huntington, Samuel P. Political Order in Changing Societies. New Haven, Connecticut: Yale University Press, 1968.
4) Creveld, Martin, Van Crevald and Martin Kim, The Transformation of War. New York: Free Press, 1990.
5) James Lee, et al. World Order. New Haven, CT: Yale University Press, 2007.
(3인 저자까지는 저자 전부 표기, 그 이상은 ‘외’, ‘et al’로 표기)

* 논문 및 책의 일부분(소논문, 장 또는 절)
1) 김수민. “북한 급변사태 개연성: 내부요인을 중심으로.” 『평화학연구』제9권 3호 (2008), 1-21.
2) 김태운・노찬백. “김정일시대 주요 통치담론의 실천상 특징에 관한 고찰.” 『통일정책연구』 제15권 1호 (2006), 25-46.
3) 김성민. “미국의 동북아안보정책과 군사혁신.” 『동북아의 평화론과 평화구상』, 김이성(편), 110-130. 서울: 동북, 2004.
4) Lee, Hun Kyung. “Corresponding Steps and Further Approaches for North Korean Nuclear Solution through Application of Game Theory, Bargaining Theory, and Prospect Theory.” The Journal of Peace Studies l9(4) (2008), 63-87.
5) Marighella, Carlos. “From the Mini-Manual.” In Terrorism Reader: A Historical Anthology, edited by Walter Laqueur, 67-83. New York: New American Library, 1978.
6) Moodie, Michael L. “The Chemical Weapons Threat.” In The New Terror: Facing the Threat of Biological and Chemical Weapons, edited by Sidney D. Drell, Abraham D. Sofaer and George D. Wilson, 33-55. California: Hoover Institution Press, 1999.

* 학위논문
1) 배진석. “양분화이론으로 본 동아시아의 해양안보질서와 해군력의 역할.” 동아대학교 박사 학위 논문, 2011.
2) Choi, Mihwa. “Contesting Imaginaires.” PhD diss., University of Chicago, 2008.

* 학회발표논문
1) 조철호. “남북한의 분단외교와 통일외교.” 『한반도의 외교・안보・통일환경 변화와 우리정부의 대응책: 외교・안보・통일정책을 중심으로』. 한국평화연구학회 2012 동계학술회의, 서울, 2012년 11월 23일, 1-9.
2) Park, Sung Jo. “Theoretical and Practical Approaches toward Unification Policy: Reflections and Perspectives.” Paper presented at the conference organized by the Knowledge Center, Public Administration and Policy and Korea Institution of Public Affairs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December 5, 2005.

* 연구총서 또는 연구보고서
1) 허문영・오일환・정지웅. 『평화번영정책 추진성과와 향후과제』. KINU 연구총서 07-10. 서울: 통일연구원, 2007.
2) Noland, Marcus. Famine and Reform in North Korea. Working Paper 03-5.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s, Washington D. C., 2003.

* 신문기사 또는 잡지의 기사
1) 이수민. “동북아 협력안보레짐.” 『중앙일보』, 2007. 4. 12.
2) 반이정. “사전과 경전의 기묘한 권위.” 『한겨레 21』제645호 (2007).
3) Berkofsky, Axel. “EU’s North Korea Policy a Non-starter.” Los Angeles Times, July 14, 2003.

* 웹사이트
1) 김일태. “북핵문제의 해법을 찾아서.” 검색일 2007년 4월 5일. http://www.ilminkor.org.
2) Stolberg, Sheryl Gay and Robert Pear. “Wary Centrists Posing Challenge in Health Care Vote.” New York Times, February 27, 2010. Accessed February 28, 2010.http://www.nytimes.com/2010/02/28/us/politics/28health.html.

* 각주 및 참고문헌과 관련, 구체적인 내용은 The Chicago Manual of Style(http://www.chicagomanualofstyle.org/tools_citationguide.html)에 준거한다.


부칙 (2004.01.02)
제1조 이 규칙은 2004년 1월 2일부터 시행한다.
부칙 (2006.04.02)
제1조 이 규칙은 2006년 4월 2일부터 시행한다.
부칙 (2007.01.02)
제1조 이 규칙은 2007년 1월 2일부터 시행한다.
부칙 (2008.01.02)
제1조 이 규칙은 2008년 1월 2일부터 시행한다.
부칙 (2009.01.02)
제1조 이 규칙은 2009년 1월 2일부터 시행한다.
부칙 (2010.01.02)
제1조 이 규칙은 2010년 1월 2일부터 시행한다.
부칙 (2013.04.02)
제1조 이 규칙은 2013년 4월 2일부터 시행한다.
부칙 (2013.06.02)
제1조 이 규칙은 2013년 6월 2일부터 시행한다.
부칙 (2013.12.02)
제1조 이 규칙은 2013년 12월 2일부터 시행한다.
부칙 (2016.01.11)
제1조 이 규칙은 2016년 1월 11일부터 시행한다.
부칙 (2020. 01.11)
제1조 이 규칙은 2020년 1월 11일부터 시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