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국보훈의 달을 맞아 순국선열의 넋을 기리고 보훈의 진정한 의미를 되새겨보고 싶다. 비단 우리뿐만 아니라 미국도 국가를 위해 헌신한 전몰장병에 대한 예우에 각별하다. 1886년 링컨 대통령의 전몰장병을 위한 게티즈버그 추도연설을 비롯해 최근 오바마 대통령은 메모리얼데이 행사에서 “사랑하는 조국을 위해 그들 자신의 삶을 희생한 분들을 각별히 기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미군은 베트남전(1962∼1975) 참전 50주년을 맞아 13년5개월의 기간을 베트남전 참전 기념기간으로 정했다.
윤영미 평택대 교수·외교안보학
물론 우리도 국가를 위해 산화한 호국영령과 위국헌신한 분을 기억하고 예우하기 위해 많은 행사와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이들에 대해 국가가 끝까지 책임을 져야 한다는 의식을 국민에게 심어주기 위해 사명감을 갖고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그 일환으로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은 2000년부터 고국의 전장에 묻혀 있는 국군전사자 6600여구의 유해를 발굴하는 성과를 달성했다. 지난달 25일에는 뜻 깊은 유해봉환식이 거행됐다. 6·25전쟁 때 북한에서 전사한 12구의 국군 유해가 1953년 정전협정 이후 처음으로 국내로 귀환됐다. 이들은 2000년에서 2004년 사이 미국에 의해 북한땅에서 발굴돼 하와이의 미 합동전쟁포로실종자사령부(JPAC)에서 신원확인 절차를 거쳤고, 신원이 확인된 유해 2구는 62년 만에 가족의 품으로 돌아왔다. 현재 6·25전쟁 당시 13만명의 전사자 중 비무장지대(DMZ)나 북한지역의 미발굴 유해는 3만∼4만구로 추정된다. 이들의 유해 발굴에 더욱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우리 모두는 ‘기억의 공동체’에 살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살아남은 자들은 조국을 지키기 위해 산화한 호국영령의 희생이 헛되지 않게 해야 한다. 그러나 우리 앞에 놓인 지금의 현실은 녹록지 않다.
종북세력이 ‘색깔론’을 전가의 보도처럼 앞세우며 반국가적 활동을 계속하는 동안 국가보안법은 민주화 세력을 탄압하는 악법으로 공격받았고, 친북·종북은 시대착오적인 이념분쟁으로 간주됐다. 이들은 6·25전쟁을 북침으로 간주하고, 천안함 피격사건이 북한 소행임을 부정하면서 김정은 3대 세습과 핵개발과 미사일 발사에 침묵했으며, 북한 주민의 실상과 강제 북송당하는 탈북자의 인권을 무시한 채 조국을 위해 기꺼이 목숨 바친 호국영령에게조차도 참배를 거부하고 있다.
우리는 고귀한 목숨조차도 희생하며 이 땅을 지켜낸 호국영령의 가치가 실추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 더욱 시급한 것은 국가가 종북세력과 국가파괴행위가 용납되지 않도록 특단의 조치를 취해야 한다. 또 애국의 진정한 의미와 가치를 드높이는 ‘보훈문화’ 정착에 국민의 지지와 참여가 진정 필요한 시점이 아닐까 싶다.
윤영미 평택대 교수·외교안보학/세계일보 2012.06.11
한국평화연구학회 국제협력위원회 이사